발리 부동산 투자 기회: 북발리 국제공항·고속도로·지하철로 열리는 황금벨트
부동산 투자

발리 부동산 투자 기회: 북발리 국제공항·고속도로·지하철로 열리는 황금벨트

작성자: Domuna
목록으로 이동

2027년을 기점으로 발리는 단순한 관광지를 넘어 인프라와 부동산의 새로운 기회지로 거듭나려 하고 있습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수조 원 규모의 인프라 프로젝트가 발리 전역에서 추진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북발리 국제공항남북 연결 고속도로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발리에서 진행 중인 핵심 인프라 프로젝트들을 소개하고, 이 변화가 부동산 시장, 특히 토지 투자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살펴보겠습니다.


1. 왜 지금, 인프라에 주목해야 하는가?

많은 투자자들이 발리에 주목해왔지만, 그 대부분은 남부 지역(우붓, 짱구, 꾸따 등)에 집중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인프라 개발은 자산의 지형을 바꿉니다. 도로, 공항, 대중교통의 변화는 곧 사람의 흐름을 바꾸고, 이는 수요와 땅값의 변동으로 직결됩니다.

즉, 인프라 개발 초기 단계에서 정보를 확보한 사람은 장기적인 자산 가치 상승의 수혜를 선점할 수 있습니다.


2. 북발리 국제공항 – 게임체인저의 등장

  • 위치: 부렐렝(Buleleng) 지역
  • 수용 규모: 연간 3,200만 명 승객
  • 건설 방식: 활주로는 해상 매립지를 활용해 조성 예정
  • 완공 목표: 2027년

현재 발리의 이 구스티 누라 라이 공항은 대부분의 국제선이 남부로 집중되어 있습니다. 이는 남부 지역의 심각한 과밀화와 부동산 가격 고점 형성으로 이어졌습니다. 북발리 국제공항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면서, 북부 지역을 새로운 성장 중심지로 변화시킬 핵심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공항 인근 부지와 도로망, 상업지로의 투자가 빠르게 이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참고: 이 공항은 단순한 지역 공항이 아니라, 동남아 허브 공항으로 성장할 계획입니다. 싱가포르 창이 공항과 비교될 정도로 대형화가 목표입니다


3. 남-북 발리 고속도로 와 Gilimanuk–Mengwi 고속도로 – 섬의 혈관을 다시 짠다

🚗 ① 남-북 발리 고속도로 (South–North Toll Road)

  • 노선: 바둥(Badung) → 부렐렝(Buleleng)
  • 목적: 북부 접근성 향상, 관광객 분산
  • 이동 시간 단축: 기존 3~4시간 → 약 90분
  • 진행 상황: 2025년 입찰 예정

🚛 ② Gilimanuk–Mengwi 고속도로

  • 노선: 길리마눅(Gilimanuk) → 멩위(Mengwi)

  • 연장: 약 96km, 3개 구간으로 구성

  • 목적: 서부 지역 물류·교통 개선

  • 진행 상황: 2025년 재입찰 후 공사 재개 예정

    이들 고속도로는 북발리 공항과 함께 북부 서부 접근성을 결정적으로 개선하는 핵심 프로젝트입니다. 관광객뿐만 아니라 물류, 지역 주민 이동에도 엄청난 영향을 주며, 도로 주변 지역의 땅값과 상업 잠재력도 크게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4. 지하철과 기타 공공 인프라 – 장기 성장의 밑거름

  • 지하철(Metro): 2031년 완공 목표, 발리 최초의 지하 대중교통
  • BRT(급행 버스), 지역도로 개선도 병행 추진 중
  • 총 투자 규모: 약 200억 달러
  • 기대 효과: 교통 혼잡 해소, 거주자 중심의 생활 기반 개선

발리의 지하철 프로젝트인 **발리 어반 서브웨이(Bali Urban Subway)**는 총 4단계로 진행되며, 주요 관광지와 지역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교통 혼잡 완화와 관광 인프라 개선을 목표로 하며, 2031년까지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단기적으로 관광객 유입을, 장기적으로는 외국인 장기 체류자와 디지털 노마드 유입을 촉진시킵니다. 이는 자연스럽게 주거지, 상업지 수요 증가 → 부동산 수익 모델 다양화로 이어집니다.


5.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

발리에서 진행 중인 북부 개발은 부동산 시장에도 뚜렷한 변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특히 부렐렝을 중심으로 한 북부 지역과 고속도로 예정 노선 인접 지역은 명백한 수혜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현재는 아직 개발 초기 단계에 있기 때문에 초기 진입자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한 투자 환경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공항과 고속도로가 완공되면 관광객 유입과 상업 활동이 본격화되면서, 숙소, 상가, 임대 등 다양한 수익 모델이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실제로 북발리 일부 토지는 전년도 대비 20~30%의 시세 상승을 기록했으며, 주요 부동산 플랫폼에서도 매물 공급이 빠르게 줄고 있다는 점에서 시장의 관심이 얼마나 집중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지금이야말로 북발리 부동산 시장에 선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시점이라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6. 결론 – 지금이 진입 타이밍일까?

지금은 아직 공항도 고속도로도 착공 초기 단계지만, 계획이 확정되고 국가 프로젝트로 진행되는 상황에서는 "너무 이르다"는 말은 오히려 잘못된 판단일 수 있습니다. 가장 높은 수익은 정보가 아직 널리 알려지지 않았을 때 진입한 사람에게 돌아갑니다. 북발리, 고속도로 연결 구간, 공공 교통망이 형성될 지역은 앞으로 3~5년간 가장 큰 가격 변동을 겪을 수 있는 지역이라고 생각합니다.

D

Domuna

관련 게시물

인도네시아 경제 전망과 부동산 시장의 미래
부동산 투자

인도네시아 경제 전망과 부동산 시장의 미래

동남아 유일의 G20 국가 인도네시아의 경제 성장과 부동산 시장 전망을 분석합니다. 2045년 세계 4위 경제대국을 목표로 하는 인도네시아의 구조적 강점과 주요 투자 기회, 그리고 발리, 라부안바조, 누산타라 등 주목해야 할 지역을 소개합니다.

동남아 외국인 토지 투자 제도 비교 – 왜 인도네시아인가?
부동산 투자

동남아 외국인 토지 투자 제도 비교 – 왜 인도네시아인가?

동남아 지역에서 외국인 토지 투자를 고려할 때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의 규제와 제도를 비교합니다. 베트남과 태국은 외국인 토지 소유에 엄격한 제한이 있는 반면, 인도네시아는 PMA(법인) 설립을 통해 합법적으로 토지를 보유할 수 있고 장기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한 투명한 법적 구조를 제공하여 가장 실질적인 투자 기회를 제공합니다.

인도네시아 수도 이전(누산타라)과 부동산 투자: 과연 지금이 기회일까?
부동산 투자

인도네시아 수도 이전(누산타라)과 부동산 투자: 과연 지금이 기회일까?

인도네시아 누산타라 수도 이전 프로젝트의 투자 가능성을 분석합니다. 정부의 야심찬 계획과 투자자들의 기대 이면에 숨겨진 현실적 리스크 요인들(재정 제약, 정치적 불확실성, 개발 속도와 수요 불일치, 시장 선반영)을 살펴보고, 발리 같은 대체 투자처와 비교해 더 안정적인 투자 방향을 제시합니다.